코딩을 한단계씩 부셔보자.

코딩을 한단계씩 부셔보자.

  • 분류 전체보기 (319)
    • 코딩배움일지 (157)
      • JAVA (79)
      • DataBase (29)
      • Web 구현 (34)
      • 인터페이스 구현 (15)
    • 개인적인 공부 (142)
      • 자바 (6)
      • 백준 (47)
      • Java의 정석 (0)
      • 그냥정리 (2)
      • Database 복습 (5)
      • 테스트 페이지 (1)
      • 프론트엔드 (7)
      • Unity (29)
      • Python (45)
    • TeamProjectHappy (12)
      • front (9)
      • database (3)
    • 개발일지 (2)
      • Journey to West (2)
  • 홈
  • 배움기록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코딩을 한단계씩 부셔보자.

컨텐츠 검색

태그

자바 c# unity 파이썬 java 유니티 2D javabasic 왕초보 배열 Web SQL javascript 자바기초 Python CSS 백준 java기초 database html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아카이브

javascript(9)

  • JavaScript (Destructuring, 구조분할)

    Destructuring, 구조분할 배열의 원소나 객체의 프로퍼티를 추출해서 변수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(원소나 프로퍼티를 하나만 가져온다) 스프레드와는 다르다.(모든 원소와 프로퍼티를 가져와서 새 배열이나 객체 에 전달한다) Array Destructuring [a,b] = ['Hello','Jin'] console.log(a) console.log(b) 배열 a,b 에 새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a 와 b 에 각각 Hello 와 Jin 을 할당한것 //배열 디스트럭쳐링 const numbers = [1,2,3]; [num1,num2] = numbers; console.log(num1,num2); //1,2 const numbers = [1,2,3]; [num1, , num3] = numbers; c..

    2023.01.06
  • JavaScript (Spread & Rest Operators)

    ... 점 3개 연산자 어디에 사용하는냐에 따라 스프레드 또는 레스트 연산자라고 부른다. Spread 배열의 원소나 객체의 프로퍼티를 나누는데 사용한다. 그래서 객체나 배열을 펼쳐 놓는다. const newArray = [...oldArray,1,2] const newObject = {...oldObject, newProp: 5} oldArray 가 있는데 이 oldArray배에 있는 모든 원소들을 새로운 배열에 추가하고 거기에 1과 2를 추가하고 싶다면 oldArray앞에 점이 3개 있고, 모든 원소들을 꺼내서 대괄호로 새로 생성한 배열에추가합니다 스프레드 예시 const numbers = [1,2,3]; const newNumbers = [...numbers,4]; console.log(newNumb..

    2023.01.06
  • JavaScript (Class, Property & Methods)

    Property(속성) : 클래스와 객체에 추가되는 변수 //ES6 constructor(){ this.myProperty ='value' } //ES7 myProperty = 'value' Method: 클래스와 객체에 추가되는 함수 //ES6 myMethod(){...} //ES7 myMethod = () => {...} myMethod = () => {...} 의 장점은 property 값으로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this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. 저번에 했던것 예시 class Human{ constructor(){ this.gender = 'male'; } printGender(){ console.log(this.gender); } } class Person extends Huma..

    2023.01.06
  • JavaScript (클래스)

    class class Pesron{ name = 'karatejin' /*Property : 클래스에 정의한 변수*/ call = () =>{...} /*Method : 클래스에 정의한 함수*/ } usage const myPerson = new Person() myPerson.call() console.log(myPerson.name) inheritance class Person extends Master 클래스 생성 후 프린트 class Person{ constructor(){ this.name = 'karatejin' } printMyName(){ console.log(this.name); } } const person = new Person(); person.printMyName(); 서브클래스 ..

    2023.01.06
  • JavaScript ( Export & Import)

    2023.01.06
  • JavaScript (let 과 const)

    Var 는 자바 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생성한다. var myName = '양진구'; console.log(myName); myName = '김전일'; console.log(myName); let 새로운 var라고 생각하면 되는데,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합니다 let과 const는 모두 변수들의 범위를 변경하는것들입니다 하지만 let 은 값을 수정할 수 있는 변수를 사용할 때 선언하는 것입니다. let myName = '양진구'; console.log(myName); myName = '김전일'; console.log(myName); const const 는 한번지정하면 절대 변하지 않는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. const myName = '양진구'; console.log(myName); myName = ..

    2023.01.05
이전
1 2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